본문 바로가기

[책]정보75

강 건너 불구경 말고 자신 구경하기! 1편 강 건너 자신 구경하기 판 밖에서 바라보아요. 바둑 격언 중에 "반외팔목 般外八目"이라는 말이 있다. 직역하자면, 바둑판 밖에서 보면 8집이 더 유리하다는 뜻이 있다. 이것은 불안, 초조, 욕심 등으로 인해 눈앞에 있는 자신의 이익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걸 비유하는 말이다. 바둑판 가까이에 들여다볼 때는 자신이 불리한 것처럼 여겨지는데 멀리 떨어져서 보면 오히려 앞서고 있다. 나중에 복기를 하면 그때서야 왜 내가 그것을 못 봤을까 후회를 한다. 인생도 그렇다. 사람은 각자 당신의 고난이 가장 크다고 생각하기에 자신만 불행하다고 여긴다. 다른 사람들은 좋은 부모를 만나 편하게 사는데 왜 나만 혼자 고생인 걸까. 다른 사람들은 얼굴도 잘생기고 몸매도 좋은데 왜 나는 이런 못생긴 모습으로 태어났나. 등(자신의.. 2020. 5. 29.
효과적인 사람은 하루를 어떻게 보낼까? 2편 효과적인 삶을 살고 싶다면 효과적인 하루를 보내야 해요! bobo-day.tistory.com/26 효과적인 사람은 어떻게 하루를 보낼까? 1편 효과적인 삶을 살고 싶다면 효과적인 하루를 보내야 해요! 1편 (실행이 답이다) 효과적인 사람은 성과를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묻는다. 효과성이란 목적지가 서울이면 서울로 가는 것이고, 비효� bobo-day.tistory.com [효과적인 사람은 어떻게 하루를 보낼까? 1편에 이어서] 둘째,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성과나 기여도에 얼마나 직결되는가? 이 질문은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고 성과와 얼마나 직결되는지 생각하지 않고 일하기 때문에 성과와 무관한 일에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다. 효과적인.. 2020. 5. 29.
효과적인 사람은 어떻게 하루를 보낼까? 1편 효과적인 삶을 살고 싶다면 효과적인 하루를 보내야 해요! 1편 (실행이 답이다) 효과적인 사람은 성과를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묻는다. 효과성이란 목적지가 서울이면 서울로 가는 것이고, 비효과성이란 서울이 아닌 엉뚱한 곳으로 가는 것이다. 목적지와 다른 곳으로 간다면 아무리 열심히 아무리 빠른 속도로 간다고 해도 소용이 없다. 늘 바쁘지만 결과가 신통찮은 직장인, 남다른 재주를 갖고 있는데도 평생 힘들게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 효과성이 떨어지는 사람이다. 비효과적인 사람들은 현재의 관점으로 상황을 바라보면서 단지 그들에게 친숙하거나 당장 하기 쉽다는 이유로 일을 택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효과적인 사람들은 미래의 관점에서 가치를 창출하거나 기여도가 높은 일을 선택한다. 그들은 무슨 일을 하건 전략 단계부.. 2020. 5. 29.
100명의 여자에게 거절당한 최고의 심리학자 1편 거절당한 상처 회복할 수 있는 "합리적 정서행동 치료" 프로그램 1편 100명의 여자에게 거절당한 최고의 심리학자 어릴때부터 내성적이고 수줍음이 많아 대인공포증이 심했었고, 특히 여성에 대한 대인불안이 심했던 19세의 남자대학생이 어느 날 한 달 안에 100명의 여성에게 데이트 신청을 하는 모험 시도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겨우겨우 어렵게 여자들에게 말을 걸었지만 100명 중 한명의 여학생만이 데이트에 응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그 한명마저도 약속 장송에 나타나지 않았다. 외관상으로는 100% 완전한 실패였다. 하지만 그는 이 실험을 계기로 크게 성공했다. 이 경험을 통해 대인공포증에서 벗어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훗날 직면치료를 통해 수줍음 극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중 강연의 명강사가 되었다. 그뿐만이 .. 2020. 5. 28.
일단 먹고 살아야 하지 않겠어? 꿈보다 현실이 먼저! 꿈을 이루려면 먼저 현실에서 시작해요 2편 돈이 인생의 전부가 된다면 그것만큼 허무한 인생도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꿈을 갖고 있다면 너 높이 올라가려고 노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됩니다. 더 좋은 대우, 너 높은 연봉을 받는다는 건 그만큼 내 능력을 인정 받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더불어 내 능력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더 좋은 옷을 입고 더 좋은 집에서 사는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그것으로 가족을 먹여 살리고 아이들을 공부시키고 국가에 세금까지 낸다면 이 또한 자랑스러운 일이 될 것이다. 모든 노동은 신성하다. 내가 바둑으로 노동하듯이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직업으로 노동을 하며 생계를 꾸려나간다. 만약 나처럼 내 직업에 애착과 자부심을 갖고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2020. 5. 27.
꿈이 먼저일까? 현실이 먼저일까? 꿈보다 현실이 먼저! 꿈을 이루려면 먼저 현실에서 시작해요 1편 꿈보다 현실이 먼저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묘한 기분은 점점 책임감으로 다가왔다. "내가 벌어야 하는구나." 그때까지 나는 돈이 뭔지 잘 모르고 살았다. 사실 어려서부터 가난하게 살았지만 돈 걱정을 해본 적은 없었다. 어머니 아버지가 시장에서 야채가게를 하며 어렵게 생계를 꾸려나가는 걸 알았지만 그때는 다들 못 먹고 못 살던 시절이라 가난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었다. 일본 유학을 간것도 모두 후원자들 덕분이었다. 일본에서 내 생활은 부족함이 없었다. 한국에 비해 좋은 집과 먹을거리도 많고 물자도 풍요로웠다. 무엇보다 돈 쓸 일이 없다 보니 가난한 일도 없었던 거 같다. 이렇게 경제적 고민 없이 편하게 살았기에. 나는 스물이 다 되도록 가난이.. 2020.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