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정보75 생각은 행동이자 선택이에요. 순간의 선택이 나를 만들어요. 생각의 바탕은 인품이다. 생각은 행동이자 선택이다. 어떤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지는 그 사람의 선택을 보면 알 수 있다. 백 마디 멋진 말이 무슨 소용인가. 단 하나의 잘못된 선택을 하면 그것으로 그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지 다 드러나게 된다. 나쁜 사람들이 인정을 받고 성공 가도를 달리는 것을 보면 참으로 헷갈린다. 나도 저렇게 살아야 하는 건 아닌지, 원칙과 도덕을 지키는 것 오히려 손해 보는 짓은 아닌지, 가치관이 흔들릴 때도 있다. 하지만 오래 지켜보면 알게 된다. 나쁜 사람들이 잘되는 건 그저 찰나의 현상일 뿐이다. 지금 잘나가는 것일 뿐, 오래 지속되지도 영원히 잘 나가지도 않는다. 나쁜 사람은 꼭 벌을 받고 좋은 사람은 꼭 복을 받는 건 아니지만,.. 2020. 6. 2. 평안하고 행복하게 살고 싶다면(법정 행복한 삶에서) 필요에 따라 살되 욕망에 따라 살지 마라 필요에 따라 삶을 살아갈 수 있다면 아등바등하지 않아도 살아가는 일에 불안해하거나 두려워하지 않는다.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알기 때문에 그에 맞게 대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욕망에 따라 삶을 살아가면 전전긍긍하게 되고, 아등바등하며 매사에 불만족스러워하게 된다. 그리고 살아가는 일에 불안해하고 두려워 함으로써 자신을 불행하다고 생각한다. 「욕망과 필요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욕망은 분수 밖의 바람이고, 필요는 생활의 기본 조건이다. 하나가 필요할 땐 하나만 가져야지 둘을 갖게 되면 당초의 그 하나마저도 잃게 된다.」 법정 -산에서 꽃이 피네- 자신을 평안하게 하고 행복하게 하고 싶다면, 욕망에 따라 살지 말고 필요에 따라 사는 일에 익숙해져야 한다. 필요와 욕망에.. 2020. 6. 2. 반쯤 감은 눈에서 더 강한 집중력이 생긴다. 2편 힘을 빼고 가벼운 마음으로. 긴장하면 잘하고 싶다는 욕망에 쫓기기 쉬워요.(생각 버리기 연습) bobo-day.tistory.com/37 반쯤 감은 눈에서 더 강한 집중력이 생긴다. 1편 힘을 빼고 가벼운 마음으로. 긴장하면 잘하고 싶다는 욕망에 쫓기기 쉬워요.(생각 버리기 연습) 반쯤 감은 부처의 눈을 흉내 내 집중한다. 대인 울렁증에 있는 사람들은 왜 다른 사라들 앞에서 �� bobo-day.tistory.com [반쯤 감은 눈에서 더 강한 집중력이 생긴다. 2편] 이어서 자신의 마음이 어지러워지는 순간이 찾아오면, 일단 시야를 차단하고 자기 마음의 움직임에 집중한다. 이것은 일반인들도 쉽게 할 수 있는 마음 조절 법이다. 마음이 불안해지거나 긴장이 되면 일단 눈을 반쯤 감고, 호흡에 의식을 집중한다.. 2020. 6. 1. 반쯤 감은 눈에서 더 강한 집중력이 생긴다. 1편 힘을 빼고 가벼운 마음으로. 긴장하면 잘하고 싶다는 욕망에 쫓기기 쉬워요.(생각 버리기 연습) 반쯤 감은 부처의 눈을 흉내 내 집중한다. 대인 울렁증에 있는 사람들은 왜 다른 사라들 앞에서 발표만 하면 긴장하는 것일까? 그것은 "내가 실패해서 다른 사람들이 날 보고 발표도 못하는 멍청이라고 하면 어쩌지" "부정적인 평가"를 받으면 어쩌지?" 하고 만의 번뇌에 속하는 생각이 앞서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생각을 한 나머지 긴장하게 되는 것이다. 대인 울렁증에 있는 사람은 한 사람이든 여러 사람이든 상대를 잘 관찰하고 거리를 두면,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상대의 몸짓과 표정을 잘 보면, 감정 변화를 한눈에 알아차릴 수 있다. 그리고 반복해서 말하지만, 이때 알아차린 사실에 대해.. 2020. 6. 1. 금연 확률 200% 높이는 방법!! 인생은 실패할 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포기할 때 끝나는 것(변화의 시작) 그대의 신념 결심, 안녕하십니까?? 여러분의 신념 결심은 무엇이고 그 결심은 지금까지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가? 혹시 끊었던 담배를 다시 피우는가? 빠졌던 체중이 다시 늘었는가? 그래서 모든 게 물거품이 되고 제자리로 돌아왔다는 생각에 절망감이 들지는 않는가? 하지만 절대로 출발점으로 다시 돌아왔다고 절망하거나 포지 하지 말자. 실패하는 일은 이상한 일이 아니고, 실패했다고 처음의 출발점으로 다시 되돌아 간 것도 아니다. 여러분은 의식하지 못하겠지만 그만큼 더 나아졌고, 시도를 거듭할수록 그 일은 점점 쉬워진다. 심리학자 프로 차 스카의 연구에 따르면 단 한 번의 결심으로 금연에 성공한 사람은 전체 금연 성공자의 5%에 불과하다... 2020. 6. 1. 자극이 강한 영상은 혼란만 준다 2편 자극이 강한 영상은 번뇌를 키우기 쉽다.(생각 버리기 연습) bobo-day.tistory.com/34 자극이 강한 영상은 혼란만 준다 1편 자극이 강한 영상은 번뇌를 키우기 쉽다.(생각 버리기 연습) 불교적인 관점에서 말하자면, 분노를 일으키고 마음을 혼잡스럽게 하는 것은 보지 않는 게 좋다. 난잡한 물건이 가득 들어찬 방보다� bobo-day.tistory.com [자극이 강한 영상은 혼란만 준다 1편] 이어서 불교적으로는 탐욕이나 분노를 일으키는 것이 아닌, 중립적인 것을 보는 방법을 권한다. 예를 들어, 걸을 때에도 주의 경치를 무심하게 흘려보며 걷지 말고. 자신이 이동할 때마다 눈앞의 풍경이 조금씩 변하는 데 주목해 보자. 눈앞에 "보이는"풍경을 지금 "보고 있는" 풍경으로 바꾸어 보는 것이다... 2020. 6. 1. 이전 1 ··· 5 6 7 8 9 10 11 ··· 13 다음